햅틱2 동영상 인코딩의 정석
올바른 햅틱2용 동영상 인코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 저는 Umile Encoder 를 사용하는데요,
최적의 설정값은 이렇습니다.
이제까지 올라온 글중에 여러가지 설정법이 있었는데요,
이것이 좋다, 저것이 좋다. 많이 헷갈리실 것으로 압니다.
그럼 왜 이렇게 설정하여야 하느냐에 대한 약간의 논리적 부가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1. 비디오압축 - 당연히 MPEG-4 입니다. 논할여지가 없군요.
2. 비트레이트 - 400kbps
-> 비트레이트 설정에는 많은 이야기들이 있었습니다.
뭐 핸드폰용은 200kbps 면 충분하다, 1000kbps 로해야 화질이 좋다 등등 이죠.
이 비트레이트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겠지만, 320X240 용의 최적의 비트레이트 값은
' 동영상 원본에 따라 다르다' 입니다.
여기서 요점은 '햅틱2 사양에 맞는 최적의 화면구현' 입니다.
아래를 보시죠.
[인코딩 비트레이트당 용량 효율]
TEST - BOA - EAT YOU UP
원본 - 71.3 (MB) - 100.00%
500kbps - 15.8 (MB) - 22.15%
400kbps - 13.4 (MB) - 18.78%
300kbps - 11.1 (MB) - 15.56%
200kbps - 8.86 (MB) - 12.42%
퍼센테이지는 원본에서 얼마만큼의 용량변화가 있느냐를 나타낸 것입니다.(물론 원본에 따라 다를수 있습니다.)
만약 1000kbps 로 할시 500kbps 보다 약 2배가량의 용량 증가가 있게됩니다. 또한 알아본 정보에 의하면
거의 모든 동영상은 320X240 (핸드폰용) 에서 1000kbps 까지 필요가 없습니다. (비트레이트가 무엇인가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시면 납득이 되시겠네요.) 여기에서 약 18.78%의 용량을 가져오는 400kbps 를 가장 추천드리는데요,
이유인즉, 200kbps 로 인코딩을 할시 움직임에서 약간의 각짐효과가 일어납니다. 예를들어 유재석의 놀러와에서 게스트가
웃으며 머리를 숙일때 각진(네모) 가 보일정도입니다. 다른 비트레이트도 테스트 해 보았을때 실제로 체감상 가장 낳은
화질을 구현해줄수있는 보편적인 비트레이트가 400kbps 라고 말씀드릴수 있겠네요. 영화, 움직임이 빠른 영상등을 감안해서
말이죠.
3. 프레임 - 원본유지
-> 동영상용 프레임은 15fps가 충분하다, 혹은 27.976fps 면 충분히 부드럽고 볼만하다, 라는 말들이 있는데요.
사람마다 주관적인 판단요건이 있겠지만 틀린말은 아닙니다. 허나,
30fps 로 인코딩된 원본 파일을 27.976fps 로 인코딩시 본래 원본fps를 유지시키고 보는 영상보다 끊김이 훨씬
많이 일어납니다. 이는 인코딩시 손실되는 프레임으로 인한것으로 보이는데요, 무슨소리냐면,
햅틱2가 30fps 영상도 지원해준다고 하나 컴퓨터 처럼 완벽히 부드럽게 구현해주지 못합니다. 약간의 끊김이 간간히
느껴지죠, 하지만, 이걸 27.976으로 강제 인코딩시 끊김이 훨씬 많이 느껴집니다. 말인즉슨, '햅틱2가 30fps를 완벽히
재생할 성능이 안되서 약간씩 끊기는 것보다 27.976fps 는 성능상 유연히 지원해준다고 하여 27.976fps 로 인코딩하여
영상을 재생시켜보면 막상 원본 30fps 영상보다 끊김이 더 많더라' 라는 말입니다. 용량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물론 15fps는 끊김이 더 많이 느껴지겠죠..^^
4. 영상크기, 오디오설정.
-> 햅틱2 액정이 400X240 이지만 320X240 의 영상만을 재생 가능합니다.
오디오설정 - 보편적인 것이라 따로 다룰내용이 없군요.
5. 동영상은 어떻게 넣고 어떻게 재생하는가?
-> 동영상을 넣을때는 데이터케이블을 햅틱2용 변환잭과 함께 컴퓨터에 연결하시면 햅틱2에 메뉴가 뜹니다.
거기서 맨위의 '외장메모리 형식으로 연결' 을 클릭하시고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데스크탑 컴퓨터의 '내컴퓨터' 를 클릭하시면 임의의 드라이브명으로 외장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잡힌것을
확인할수가 있는데요. 인코딩한 파일들을 System-Cam 의 폴더에 Movie 라는 폴더를 만드신후 그곳에 집어
넣으시면 됩니다. (물론 Movie라는 폴더명은 임의로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재생을 하는법은 메뉴 - 앨범 에 들어가시면 해당 폴더와 함께 동영상이 뜨는것을 볼수가 있습니다. 재생하시면 되겠네요.
* 유마일 인코더 사용시 같은 영상 폴더내에 자막파일(smi) 도 같이 들어있다면 인코딩 완료된 영상에 같이 붙여집니다.
* 약 2시간 분량의 인크레더블 헐크 4.2G 720P 짜리 MKV 파일을 인코딩시 약 500MB 가 나옵니다.
* 각 사용자 분들이 다룰수 있는 용량에 차이가 있다고 봅니다. 저의 경우는 W550 4G + sandisk 8G micro SDHC를 사용중입니다
한가지 이야기 하고 싶은 부분은 만약 자신이 느끼기에
1. '나는 끊기는 것에 큰 중점을 두지 않는다'
2. '나는 동영상 용량이 최대한 작게 나왔으면 좋겠다.
라고 생각되시는 분들이 있으시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러신 분들은 다른설정은 놔두시고 비트레이트를 200kbps, 프레임을 15fps 로 인코딩 하시면 되겠네요.^^
* 유마일 인코더와 더불어 엔젤 인코더도 쓰시는 것이 좋습니다. 엔젤 인코더는 어느때 쓰느냐?
간혹 유마일 인코더에서 재대로 읽을수 없는 동영상 파일이 있습니다. 엔젤 인코더에서는 읽히더군요.
이럴때 엔젤 인코더를 번갈아 사용하시면 좋을듯 싶네요.
* 3GP 를 이용한 고급 설정을 통한 핸드폰 인코딩 방법도 있는데요,
초~중수분들 혹은 보편적으로 쉽게 사용하고 싶은분들께서는 유마일 인코더를 추천해 드립니다.
실질적으로 뭐 그렇게 큰 차이도 없구요^^
* 혹시 모르겠지만 KTF 용 W5500? 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확장명을 mp4 로 하시면 되겠네요.
* 낙옆이 떨어지는 쌀쌀한 가을 모두 감기 조심하시고 행복한 일상 되시기 바랍니다.^^b
* 유마일 인코더 http://www.umile.kr/
* 엔젤 인코더 http://nzell.com/zbxe/?mid=page_nzellencoder_intro
★ 기기를 처음 접하는 정말 초보분들도 계신듯하여 알려드립니다.
기기에 집어넣은 영화는 우측 하단 버튼의 (메뉴) - (앨범)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파일뷰어에서 보는거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