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 –> Disconnect 를 선택하면 T*옴니아와 연결이 끊어집니다.(좌) Auto Connect는 기본적으로 체크가 되어 있는데, 체크가 되어 있으면 T*옴니아와 컴퓨터가 연결될 때 마다 My Mobiler가 자동으로 연결된다는 의미입니다.(우)
▼Auto Connect에 체크가 해제되면 T*옴니아가 컴퓨터와 연결되더라도, My Mobiler는 자동으로 연결되지 않습니다.(좌) Reconnect를 클릭하면, My Mobiler가 T*옴니아와 연결을 다시 시도합니다. 저의 경우 오류가 일어나서, 이 메뉴는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우)
2. My Mobiler의 입력 기능
File –> Key 메뉴에 들어가면 컴퓨터에서 T*옴니아로 각종 입력을 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 나와 있는 메뉴들의 오른쪽에는 F1, F2와 같이 키보드로도 입력할 수 있게 단축키를 표시해 주고 있습니다. 자주 쓰는 입력은 키보드의 단축키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Key –> Soft1을 누르면(좌) 첫 화면의 ‘전화번호부’ 부분을 누른 것과 같습니다.(우)
※ soft1은 아래 부분을 말하는 것이지요.
※ 상황에 따라 해당되는 기능이 달라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Soft2를 누르면(좌) ‘위젯’ 부분을 누른 것과 같습니다.(우)
※ soft2은 아래 부분의 메뉴를 말합니다.
▼Talk(통화)를 누르면(좌) 전화가 실행됩니다.(우)
※ Talk(통화) 키의 설명 및 위치입니다.
▼End(종료)를 누르면(좌) 실행 중이던 통화가 꺼집니다.(우)
※ End(종료) 키의 위치 및 설명입니다.
▼Volume Up 및 Volume Down은(좌) 글자 그대로 소리 크기를 조절할수 있습니다.(우)
▼Star (*)를 누르면?(좌) 일단 화면 상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네요?(우)
]
하지만 ‘*’ 키가 입력(좌)될 수 있는 곳에서는 제대로 작동하고 있습니다.(우)
▼Screen Off를 누르면(좌) T*옴니아의 화면이 꺼집니다.(우)
하지만 여러 기능들은 제대로 작동합니다. My Mobiler도 제대로 작동하죠.
▼Home 버튼을 누르면(좌) 오늘 화면으로 돌아옵니다.(우)
Star(*) 버튼과 마찬가지로, 사용 가능한 곳에서 동작합니다.
▼Reset Device를 누르면, 장치가 리셋됩니다.(소프트리셋입니다)
▼Speaker Phone을 누르면(좌), 스피커 폰 모드가 됩니다.(우)
※ 전화할 때 ‘한뼘 통화’ 기능을 켜도 스피커 폰 모드로 되지요.
하지만 이 경우, 통화 종료 시에 스피커 폰 모드는 없어집니다.
3. My Mobiler의 화면 캡쳐와 회전 기능
▼Edit –> Save Screen to Clipboard 를 선택하면 현재 화면이 클립보드에 저장됩니다.
▼그림판 등에서 ‘붙여넣기’를 하면(좌) Save Screen…메뉴를 눌렀던 때의 화면이 나옵니다.(우)
▼Save Screen to File… 을 눌러봅니다.
▼현재 화면을 이미지 파일로 바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파일 이름을 입력하고, [저장]만 누르면 됩니다.
▼My Mobiler에서는 조작 영상을 동영상으로도 저장할 수 있습니다.
Video Record Start…를 눌러봅니다.
▼비디오 파일 이름을 정하고, [저장]을 누르는 순간, 동영상의 녹화가 시작됩니다.
▼동영상의 녹화를 끝내야겠다고 생각되면, Video Record Stop을 누르면 됩니다.
SIS는 국내 벤처기업인 네오엠텔(www.neomtel.com)에서 만든 이미지 압축 기술로 휴대폰 위에서 작동되는 정지 및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SIS는 현재 국내 모든 이동통신사에서 지원해주는 장점을 갖고 있다.
SIS 파일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MIME Type을 다음과 같이 추가해줘야 한다. (image/sis) SIS기술은 이진 영상알고리즘을 채택해 기존 LZH 또는 JBIG 알고리즘의 압축비율인 1000~2000바이트(Byte)보다 높은 300~500Byte를 구현하고 디코딩 사이즈나 단말기 CPU 부하를 현격히 낮출 수 있다.
SIS 은 일종의 이미지 형식으로 현재 모바일(핸드폰)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이미지 포맷이다.
일반적 이미지는 비트이미지(bmp화일)이며 인터넷이 활성화 되면서 JPG형태나 GIF 형태처럼 전송속도를 높이고 용량을 줄이기 위해
압축이미지 형태가 나온것처럼 SIS도 이런 압축이미지의 일종이다.
유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GIF나 JPEG, BMP 파일은 무선인터넷용으로 변환했을 경우 파일 사이즈가 크고 그에 비해 디코딩 속도가 느리며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합하지 않는다.
하지만 sis 휴대폰이 갖고 있는 액정크기와 메모리 상황 등 휴대폰환경을 고려하여 데이터 크기가 작고 역동인 그래픽 작업이 가능한 포맷방식이다.
이 이미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모바일에 탑재된 플랫폼에 따라서 제작을 해야 되는데 그 플랫폼이 몇가지 색을 지원하느냐 얼마만큼의 용량을 처리할 수 있느냐에 따라서 사용할수 있는 색과 용량이 결정됩니다.
즉 256색만 지원하면 256칼라만 써야 하듯이 그리고 일반적 애니매이션을 그릴때 배경을 놓고 움직이는 캐릭터를 따로 그리듯이 SIS이미지의 제작도 이런 형태로 그리는데 그럴수록 용량이 절약이 된다.
얼마만큼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면서도 용량을 최대한 줄일수 있느냐가 SIS 이미지포맷의 가장 큰 관심거리다.
마지막 으로 퀄컴사 및 모토로라의 무선인터넷 그래픽 표준 채택으로 전세계 30개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단말수로는 국내 3800만대 전세계 1억 8천만대에 SIS 포맷이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최고의 압축률 을 자랑한다.
( SIS와 GIF, BMP 압축률 비교시 약 6배 이상의 압축률 우위를 보이고 있으며 색과 프레임 수가 증가 할수록 SIS는 압축면에서 다른 이미지 포맷과 비교하여 우위하다.)
1. 라이브 업데이트 기능 개선
2. 프랭클린 플래너 기능 개선
3. 블루투스 연동 모듈 개선
4. 일정에서 음력 설정 후 날짜 변경 후 자료 교환시 정상적으로
자료 교환 되지 않는 문제 수정
5. 연결 마법사 시나리오 변경
- USB 케이블로 폰 연결 후 마법사 실행시 기존에 USB & Bluetooth 선택
화면에서 USB만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변경.
6. 웹앨범 보안 강화
7. 웹에서 동영상 다운로드할 때, 파일명을 원래 파일명과 유사하도록 수정
sync.cyon.co.kr 에서 직접 받아 설치하셔야 업데이트 됩니다. 사이트 업데이트 확인은 안되네요..ㅡㅡ